요즘 EPL에서는 가장 핫한 구단이, 맨체스터 형제도 아니고, 첼시도 아닌, 어쩌면 뉴캐슬이 아닐까 싶은데요. 현재 강등권인 19위에 머물러 있는 뉴캐슬이지만, 핫한 이슈의 중심에는 새롭게 뉴캐슬 구단을 인수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의 왕세자가 있습니다.
지난 10월 8일. 재산만 517조로 뉴캐슬을 제외한 19개 구단의 재산을 합친 것보다 많은 재산을 보유한 빈 살만 왕세자는 잉글리쉬 프리미어리그 소속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새로운 구단주에 사우디 국부펀드(이하 PIF)가 취임하며 공식 구단주가 되었습니다. 뉴캐슬 유나이티드는 한국 시각으로 지난 10월 8일 PIF가 구단을 인수했다고 공식 발표했으며, EPL 사무국 또한 같은 날 매각을 승인하였죠. 사실 PIF의 뉴캐슬 인수 소식은 2020년에 처음으로 제기되었었습니다. 그 당시에 빈 살만 왕세자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를 인수하려다 실패한 뒤 뉴캐슬 유나이티드 FC의 인수로 시선을 돌렸다는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EPL 사무국은 개인이 구단주가 되는 것을 금지하는 ‘소유주 테스트’를 언급하며 “PIF가 사우디아라비아 왕가의 소유로 볼 소지가 있다”라며 구단 인수를 불허했었습니다.
이후 PIF는 2020년 7월 뉴캐슬 인수 계획을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BBC>가 2020년 10월 6일 “EPL 사무국이 PIF와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분리된 것으로 간주한다. PIF가 뉴캐슬 유나이티드 인수를 앞두고 있다”라고 밝히며 인수 소식이 다시 한번 전해졌습니다. 이로부터 며칠 뒤인 8일 인수가 공식 확인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PIF의 어마어마한 자산 규모가 주목받고 있는데요.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PIF의 재산은 3천2백억 파운드, 한화로 약 518조 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지갑이 빵빵한 구단주가 새롭게 취임을 했으니, 취임선물이 있어야겠죠? 빈 살만 구단주의 취임과 함께 많은 이적설이 뉴캐슬 유나이티드와 연결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선수들이 뉴캐슬과 이적설로 연결이 되고 있는데요, 그 수가 어느 정도냐 하면 그 이적설이 터진 선수만으로도 베스트 일레븐을 꾸릴 수 있을 정도라고 하죠.
물론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 이 모든 선수들을 다 영입을 할 수는 없겠지만, 지금 어떤 선수들이 뉴캐슬 유나이티드와 연결되고 있는지, 그 면면을 살펴볼까요?
이적 전문 사이트 Transfermarkt가 정리한 뉴캐슬 이적설이 돌고 있는 선수들만으로 베스트11은 위와 같이 결정이 되었습니다. 이번 베스트 일레븐의 전체 몸값은 무려 3억 9000만 유로, 한화로 약 5338억 원에 달하고 있습니다.
4-2-3-1 전형의 최전방 원톱엔 현재 첼시 소속의 티모 베르너 선수가 있으며, 레알 마드리드의 에당 아자르 선수와 유벤투스의 페데리코 이케사 선수가 좌우에 배치되며, 바르셀로나의 필리페 쿠티뉴 선수가 마지막으로 2선에 위치를 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행복하지 못한 생활을 보내는 듯 보이는 도니 반 더 비크 선수와 인터밀란의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선수가 중원에 포진하며 3선을 이루었고, 프랑크푸르트의 필립 코스티치 선수와 바이에른 뮌헨에서 계약이 얼마 남지 않았지만 아직 재계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니클라스 쥘레 선수가 양 사이드백으로, 그리고 중앙 수비수에 바르셀로나의 클레망 랑글레 선수와 유벤투스의 마타이스 데 리흐트 선수가 수비라인에 섰다. 마지막으로 골키퍼는 파리생제르맹 소속으로 지난 시즌 부동의 No.1에서 돈나룸마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케일로르 나바스 선수가 선정이 되었습니다.
이번 이적설에는 키에사나 데 리흐트 선수 등 대형급 선수들도 포함되어 있지만,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의 반 더 비크 선수처럼 재능은 있지만 소속팀에서 '전력 외'로 밀렸거나 베르너 선수처럼 새 소속팀에서 예전과 같은 기량을 보여주지 못하는 선수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는 게 이색적입니다.
물론 이적설에 연루되었다고 모든 선수들을 영입할 순 없겠지만, 여러분이 뽑으시는 가장 현실 가능성 있는 선수는 누구인가요? 또 뉴캐슬에 온다면 가장 도움이 될 선수, 혹은 가장 좋은 활약을 펼칠 것 같은 선수는 누구인가요?
함께 이야기를 나누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