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2024년 3월 22일. 2025 KBO 개막전이 열렸습니다. 오늘까지 3경기가 진행 중인데요, 공인구의 반발력이 높아진 것도 아닌데, 개막 2연전에서 멀티 홈런을 기록한 선수만도 4명. 개막 시리즈 5경기에서 무려 25개의 홈런이 터져 나왔습니다. LG 트윈스가 7개를 때려냈고, 삼성 라이온즈가 그 뒤를 이어 6개의 홈런을 때려냈는데요. 두산 베어스와 롯데 자이언츠를 제외한 8개 구단이 모두 홈런을 때려내며 그야말로 역대급 홈런 레이스의 시작을 알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24 시즌 어느 선수가 가장 많은 홈런을 허용하였을지, 어느 선수가 가장 적은 홈런을 허용하였을지 9이닝당 피홈런 TOP & WORST 10을 알아보도록 할 텐데요. 규정이닝 70% 이상 소화한 선수, 그리고 30% 이상 소화한 선수들을 대상으로 나누어서 각각 9이닝당 피홈런 TOP & WORST 10을 바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 시즌 9이닝당 피홈런 TOP 10 (규정이닝 30% 소화)
1. 우규민 (KT 위즈) / 0.21 |
![]() |
2. 박상원 (한화 이글스) / 0.27 |
|
3. 김택연 (두산 베어스) / 0.28 |
|
4. 유영찬 (LG 트윈스) / 0.28 |
|
5. 한승혁 (한화 이글스) / 0.29 |
|
6. 산체스 (한화 이글스) / 0.34 |
|
7. 브랜든 (두산 베어스) / 0.36 |
|
8. 김유영 (LG 트윈스) / 0.38 |
|
9. 최지민 (KIA 타이거즈) / 0.39 |
|
10. 한재승 (NC 다이노스) / 0.40 |
2024 시즌 9이닝당 피홈런 TOP 10 (규정이닝 70% 소화)
1. 하영민 (키움 히어로즈) / 0.48 |
![]() |
2. 김시훈 (NC 다이노스) / 0.59 |
|
3. 곽빈 (두산 베어스) / 0.59 |
|
4. 하트 (NC 다이노스) / 0.63 |
|
5. 네일 (KIA 타이거즈) / 0.66 |
|
6. 박세웅 (롯데 자이언츠) / 0.68 |
|
7. 류현진 (한화 이글스) / 0.68 |
|
8. 손주영 (LG 트윈스) / 0.68 |
|
9. 최원태 (LG 트윈스) / 0.71 |
|
10. 임찬규 (LG 트윈스) / 0.81 |
반응형
2024 시즌 9이닝당 피홈런 WORST 10 (규정이닝 30% 소화)
1. 이승민 (삼성 라이온즈) / 2.66 |
![]() |
2. 이종민 (키움 히어로즈) / 1.86 |
|
3. 나균안 (롯데 자이언츠) / 1.85 |
|
4. 이호성 (삼성 라이온즈) / 1.80 |
|
5. 김재윤 (삼성 라이온즈) / 1.77 |
|
6. 최원준 (두산 베어스) / 1.72 |
|
7. 벤자민 (KT 위즈) / 1.68 |
|
8. 임기영 (KIA 타이거즈) / 1.58 |
|
9. 김선기 (키움 히어로즈) / 1.53 |
|
10. 박치국 (두산 베어스) / 1.50 |
|
10. 문승원 (SSG 랜더스) / 1.50 |
2024 시즌 9이닝당 피홈런 WORST 10 (규정이닝 70% 소화)
1. 최원준 (두산 베어스) / 1.72 |
![]() |
2. 벤자민 (KT 위즈) / 1.68 |
|
3. 엄상백 (KT 위즈) / 1.49 |
|
4. 신민혁 (NC 다이노스) / 1.49 |
|
5. 이재학 (NC 다이노스) / 1.47 |
|
6. 김광현 (SSG 랜더스) / 1.33 |
|
7. 오원석 (SSG 랜더스) / 1.26 |
|
8. 코너 (삼성 라이온즈) / 1.18 |
|
9. 헤이수스 (키움 히어로즈) / 1.16 |
|
10. 황동하 (KIA 타이거즈) / 1.13 |
|
10. 문동주 (한화 이글스) / 1.13 |
과연 이번 2025 시즌에는 어느 선수가 TOP에 이름을 올릴지 관심 있게 지켜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