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r.Kwak_야구도사/KBO 일반

FIP(수비무관 평균자책점)으로 알아보는 2024 투수 TOP 10 (2024 시즌 국내 투수 TOP 10 / 2024 시즌 최고의 투수 카일 하트, 돌고돌아 어차피 류현진)

o헤어곽o 2025. 2. 21. 21:00
반응형
728x170

톰 탱고가 고안한 FIP, 우리말로는 수비무관 평균자책점이라 불리는 지표가 있습니다. FIP와 ERA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FIP는 ERA와 달리 안타나 실책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대신, FIP는 실제 자책점에서 투수의 책임이 가장 큰 홈런과 볼넷, 탈삼진을 몇 개나 기록했는지를 기준으로 투수를 평가합니다.

 

FIP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면, 보로스 맥크라켄을 비롯한 여러 세이버메트리션들은 팀 플레이인 야구에서 투수를 독립된 하나의 개체로 평가하길 원하였고, 그동안 사람들은 각 투수별로 피안타율을 통제하는 능력이 있을 거라고 믿어왔는데, 맥크라켄은 그렇다면 인플레이 타구의 타율(BABIP, Batting Average on Balls In Play)도 투수별로 고유의 값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의문을 가졌습니다. 하지만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삼진을 잡는 능력이나 홈런을 억제하는 능력은 각 투수 별로 해마다 일정했던 반면, 인플레이 타구의 타율은 그렇지 못했다.

 

이 흥미로운 아이디어에 착안한 톰 탱고는FIP를 고안하게 됩니다. 이는 아래의 계산식으로 도출할 수 있습니다.

 

FIP = (13 * 피홈런 + 3 * 허용한 볼넷 수 – 2* 탈삼진) / (이닝) + 상수

 

위의 식에 언급된 상수는 FIP를 ERA와 비슷한 스케일로 맞춰주기 위한 상수입니다. 따라서 두 지표는 각 투수별로 대개 비슷한 수치를 가집니다. FIP는 수비 무관 평균자책점으로 주로 번역되는데, 단어에도 있듯이 FIP와 ERA 모두 투수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실점을 허용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한 지표입니다. 다만 FIP는 그 실점 중에 투수의 책임이 큰 세 가지 경우만 이용한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이러한 설명을 종합하여  FIP 공식을 쉽게 설명하자면 투수의 역할은 삼진을 많이 잡고, 사사구와 홈런을 내주지 않는 것이며 나머지는 운의 영역으로써, 투수 고유의 능력이 아니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4시즌 어떤 투수들이 낮은 FIP를 기록했을지 2024 시즌 규정이닝 70% 이상을 소화한 투수들의 FIP 순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불어 국내 선수를 기준으로 TOP 10 또한 함께 정리하였습니다. TOP 10에 이름을 올린 선수들의 소속팀은 2024 시즌을 기준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반응형

 

2024 시즌 FIP (수비무관 평균자책점) TOP 10

 


1. 카일 하트 (NC 다이노스) / 3.10


2. 드류 앤더슨 (SSG 랜더스) / 3.55


3. 애런 윌커슨 (롯데 자이언츠) / 3.62


4. 류현진 (한화 이글스) / 3.67


5. 제임스 네일 (KIA 타이거즈) / 3.68


6. 임찬규 (LG 트윈스) / 3.79


7. 찰리 반즈 (롯데 자이언츠) / 3.83


8. 아리엘 후라도 (키움 히어로즈) / 3.84


9. 디트릭 엔스 (LG 트윈스) / 4.03


10. 엠마누엘 데 헤이수스 (키움 히어로즈) / 4.11

 

 

 


2024 시즌 FIP (수비무관 평균자책점) TOP 10

 


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3.67


2. 임찬규 (LG 트윈스) / 3.79


3. 곽빈 (두산 베어스) / 4.13


4. 하영민 (키움 히어로즈) / 4.45


5. 박세웅 (롯데 자이언츠) / 4.50


6. 손주영 (LG 트윈스) / 4.54


7. 원태인 (삼성 라이온즈) / 4.55


8. 엄상백 (KT 위즈) / 4.61


9. 최원태 (LG 트윈스) / 4.62


10. 양현종 (KIA 타이거즈) / 4.63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