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728x170
지난번 타율, 그리고 홈런부문에 이어서 내가 "왕"이다 세 번째 이야기. 바로 타점부문에서는 내가 "왕"이다 입니다.
2001 시즌부터 지난 2024 시즌까지. 21세기 KBO에서 포지션별 단일시즌 가장 많은 타점을 기록한 선수들을 파악해보았는데요, 포수부터 지명타자까지 9명의 선수로 구성된 야수 베스트 나인. 지금 바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 |
포수 2020 양의지 (NC 다이노스) 124 타점 |
1루수 2015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146 타점 |
2루수 2015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137 타점 |
![]() |
![]() |
![]() |
3루수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133 타점 |
유격수 2014 강정호 (넥센 히어로즈) 117 타점 |
좌익수 2016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144 타점 |
![]() |
![]() |
![]() |
중견수 2018 로하스 (KT 위즈) 114 타점 |
우익수 2003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142 타점 |
지명타자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136 타점 |
반응형
정말 상상에서만 구현 가능한 라인업이지만 이 선수들이 1번부터 9번에 선다면 상대하는 투수는 죽을맛일듯합니다.
자, 그럼 이어서 해당 9명의 선수들이 해당 시즌에만 잘했을까요? 21세기, 2001년부터 지난 2024년까지 해당 9명 선수들의 시즌별 타점 현황 이어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수 양의지 (두산 베어스 -> NC 다이노스 -> 두산 베어스) | |||||||||
2010 (68) |
|||||||||
2011 (46) |
2012 (27) |
2013 (57) |
2014 (46) |
2015 (93) |
2016 (66) |
2017 (67) |
2018 (77) |
2019 (68) |
2020 (124) |
2021 (111) |
2022 (94) |
2023 (68) |
2024 (94) |
||||||
1루수 박병호 (LG 트윈스 -> 넥센 히어로즈 -> 키움 히어로즈 -> KT 위즈 -> 삼성 라이온즈) | |||||||||
2005 (21) |
2006 (13) |
2009 (25) |
2010 (22) |
||||||
2011 (31) |
2012 (105) |
2013 (117) |
2014 (124) |
2015 (146) |
2018 (112) |
2019 (98) |
2020 (66) |
||
2021 (76) |
2022 (98) |
2023 (87) |
2024 (70) |
||||||
2루수 나바로 (삼성 라이온즈) | |||||||||
2014 (98) |
2015 (137) |
3루수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
2001 (1) |
2002 (32) |
2003 (13) |
2004 (68) |
2005 (80) |
2006 (88) |
2007 (87) |
2008 (94) |
2009 (100) |
2010 (133) |
2011 (113) |
2017 (111) |
2018 (125) |
2019 (88) |
2020 (110) |
|||||
2021 (81) |
2022 (101) |
||||||||
유격수 강정호 (현대 유니콘스 -> 우리 히어로즈 -> 넥센 히어로즈) | |||||||||
2006 (1) |
2007 (0) |
2008 (47) |
2009 (81) |
2010 (58) |
|||||
2011 (63) |
2012 (82) |
2013 (96) |
2014 (117) |
||||||
좌익수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KIA 타이거즈) | |||||||||
2008 (71) |
2009 (83) |
2010 (97) |
|||||||
2011 (118) |
2012 (77) |
2013 (98) |
2014 (100) |
2015 (123) |
2016 (144) |
2017 (120) |
2018 (103) |
2019 (86) |
2020 (115) |
2021 (55) |
2022 (71) |
2023 (81) |
2024 (109) |
중견수 로하스 (KT 위즈) | |||||||||
2017 (56) |
2018 (114) |
2019 (104) |
2020 (135) |
||||||
2024 (112) |
|||||||||
우익수 심정수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 현대 유니콘스 -> 삼성 라이온즈) | |||||||||
2001 (70) |
2002 (119) |
2003 (142) |
2004 (78) |
2005 (87) |
2006 (7) |
2007 (101) |
2008 (7) |
||
지명타자 김태균 (한화 이글스) | |||||||||
2001 (54) |
2002 (34) |
2003 (95) |
2004 (106) |
2005 (100) |
2006 (73) |
2007 (85) |
2008 (92) |
2009 (62) |
|
2012 (80) |
2013 (52) |
2014 (84) |
2015 (104) |
2016 (136) |
2017 (76) |
2018 (34) |
2019 (62) |
2020 (29) |
300x250
마지막으로 해당 선수들이 가장 많은 홈런을 떄려냈던 해당 시즌. 그 시즌의 세부 스탯을 확인하도록 하겠습니다.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타율 | 안타 | 홈런 | 타점 | 득점 | 장타율 | 출루율 |
포수 | 양의지 | NC | 0.328 | 151 | 33 | 124 | 86 | 0.603 | 0.400 |
1루수 | 박병호 | 넥센 | 0.343 | 181 | 53 | 146 | 129 | 0.714 | 0.436 |
2루수 | 나바로 | 삼성 | 0.287 | 153 | 48 | 137 | 126 | 0.596 | 0.393 |
3루수 | 이대호 | 롯데 | 0.364 | 174 | 44 | 133 | 99 | 0.667 | 0.444 |
유격수 | 강정호 | 넥센 | 0.356 | 149 | 40 | 117 | 103 | 0.739 | 0.459 |
좌익수 | 최형우 | 삼성 | 0.376 | 195 | 31 | 144 | 99 | 0.651 | 0.464 |
중견수 | 로하스 | KT | 0.349 | 192 | 47 | 135 | 116 | 0.680 | 0.417 |
우익수 | 심정수 | 현대 | 0.335 | 154 | 53 | 145 | 110 | 0.720 | 0.478 |
지명타자 | 김태균 | 한화 | 0.365 | 193 | 23 | 136 | 94 | 0.569 | 0.475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