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r.Kwak_독일유학/(IfB) Baustoffe

[NKuB] Erste Vorlesung - Einführung, Definition

o헤어곽o 2021. 4. 20. 20:34
반응형
728x170

 

해당 내용은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의 Bauingenieurwesen(건축-토목공학) 과정에 참여하였을 당시 수업 내용을 개인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저 스스로 복습의 의미도 가짐과 동시에, 독일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하시거나 특히 Leibniz Uni에서 건축공학을 공부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포스팅을 시작합니다.

 


 

 

- 강의 목표

 1) 지속성의 정의 (3-기둥모델과 함께)

 2) 건축에서 지속성을 위한 필수 요건

 3) 건축에서 영향 (예를 들어 기후 변화, 자원 사용)

 4) 왜 우리가 이에 대해서 다루어야 하는가?

 


 

 

- 지속성의 3 기둥 모델

 1) 경제학 - 경제성

 2) 생태학 - 온난화 대책

 3) 사회학 - 워라벨

 


 

 

- 과제(환경적 문제)

 1)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의 양 증가

 2) 건물과 산업 쪽에서 각각 6%와 21%의 책임 소지가 있음

 3) 산업측면에서 이산화탄소 배출 비율을 살펴보면 콘크리트와 철강이 각각 20 Mio와 35.6 Mio의 양을 배출한다.

     (건축에서 주된 비율)

 


 

 

- 이로 인해 기후 변화가 발생 

 1) 기온 상승

 2) 해수면 상승

 


 

 

- 이러한 기후 변화와 관련된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 -> 2015년 파리 기후 협약

 1) 독일 내 계획은 2030년까지 CO2 방출량을 65%, 2050년까지 90%를 감소하는 것

 


 

 

- Graue Menge von GWP(CO2 Inhalt) 감소가 중요

  *) Graue Menge : Transport und Bau, Straße und Leistungen und Gerage, Wohngebäude에 관련된 에너지 방출

 1) 친환경적인 재료 사용 (이산화탄소 함량이 적은 재료 사용)

 2) 재료 자체의 사용의 감소

 


 

 

- DGNB에 따른 정의 / DGNB : Deutsche Gesellschaft für Nachhaltiges Bauen

 -> "지속 가능한 건물은 가용 자원을 의식적으로 취급하고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환경을 보호하는 것"

 • 경제학적 : 건물 전체를 경제적으로 합리적으로 고려
 • 생태학적 : 건물의 자원 및 환경친화적 건축
 • 사회학적 : 건물 사용자의 지속 가능한 행동

 

- 지속가능성 = 효율성(성능) x 사용기간 / 환경의 영향

  (좋은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성능과 사용기간은 높이고, 환경의 영향은 줄여야 함)

-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1) 효율성 (성능)
  a) [내하중 용량이 증가된 재료 또는 추가적인 기능이 있는 재료]를 통한 성능 향상
  b) 재료 특성의 다른 영역을 포함하는 모델링
 2) 사용 기간
  a) [건축 자재의 내구성 향상, 적절한 수명 평가, 건물 감독 및 유지 보수]를 통한 사용 수명의 연장
  b) 사용자에 대한 건물의 매력도 증가
 3) 환경영향
  a) 환경 영향이 감소된 건축 자재 사용 (예 : 복합 시멘트)
  b) 결합제 또는 클링커 함량을 줄이면서 동시에 처리하기 쉬운 콘크리트 제형 개발
  c) 재료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생산기술 및 시공 방법 개발

  d)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콘크리트 사용
  e) 콘크리트 필요성 최소화
  f) 새로운 유형의 보강 시스템 사용

 


 

 

- 다음을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 감소
1) 시공 : 재료, 측량, 구조, 시공
2) 운영(사용) : 운송 연결, 조명, 건축 물리학, 운영 비용
3) 재활용 : 재료, 건축 구성요소의 유형

-필수 속성 확보
1) 효율성
2) 내구성
3) 수락(인수용의)

 


 

 


 

 


 

전체 독일어 원본 파일은 아래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01.NKB.21.Einführung.plain.pdf
8.80MB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그리드형